알면 쓸모 있는 정보/사회 및 과학 정보

4월 3일 제주 4·3 사건 희생자 추념일

89년생몽실이 2023. 4. 2. 21:39
반응형

해방 이후 최대의 비극 '제주 4·3 사건'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입니다.

 

목차

 

 

사건의 발단과 배경

당시 제주도는 동북아시아의 전략적 요충지로, 태평양전쟁 말기에 미군 상륙을 막기 위한 일본군 기지가 위치해 있었습니다. 광복 이후 일본군이 철수하면서 외지에 나가 있던 6만여 명의 제주 주민들이 일시에 귀환하여 급격한 인구 변동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제주도민들은 여러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민심이 악화되었고, 1947년 3·1절 발포사건이 발생하여 제주 4·3 사건의 발단이 되었습니다.

이후 같은 해 3월 14일에 제주에 내려온 미군정청의 경무 부장이 3월 1일에 발생한 사건은 일종의 폭동으로 무질서한 제주의 치안을 바로잡겠다는 뜻을 담은 포고문을 발표했습니다. 1948년 4월 3일 사건이 발발하기 직전까지 약 1년 동안 2,500명이 구금되었으며 취조 과정에서 고문이 자행되어 논란이 일었습니다.

 

 

 

 

주요 사건들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 새벽, 제주도에서 350명의 무장대가 도내의 24개의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경찰지서를 동시에 공격하여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이 시작입니다. 이후 1948년 5월 1일에 발생한 '오라리 방화사건'으로 협상이 파기되었고, 같은 해 5월 10일에는 남한 단독선거가 치러졌는데 그전에 이 사태를 빨리 진압하기 위해서 미군정은 강경진압을 계속해 나갔고 남한 단독선거에서 제주도의 투표는 과반수 미달로 무효처리되었습니다.

 

이후에 제주지구 사령관은 6월 23일에 재선거를 실시하려고 하였으나 이마저도 무산 되었습니다. 같은 해 8월 15일에 이승만 정부는 제주도 문제를 정권의 정통성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10월 11일 제주도경비사령부를 설치하였고, 해안선으로부터 5km 이외 지점 및 산악지대의 무허가 통행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면 폭도로 인정하여 총살에 처할 것이라는 포고문을 발표했습니다.

19488년 12월까지 강경진압은 계속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북촌리에서 400여 명의 주민이 총살당한 북촌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무장대에게도 피해를 입었는데 무장대의 습격으로 민가가 불타고 많은 주민들이 희생 됐습니다. 12월 31일 계엄령은 해제되었고, 이듬해 3월에는 귀순하면 용서한다는 사면정책에 따라 많은 주민들이 하산했습니다. 1949년 6월에는 무장대의 총책이 사살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결과로 제주도에서 중산간마을의 95% 이상이 파괴되고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1950년 6월 25일에 6.25 전쟁이 발발하면서 4·3 사건 관련자들이 즉결 처분 되었으며 그 과정에 약 3,000여 명이 희생되었습니다.

 

 

 

 

사건의 그 이후

1954년 9월 한라산 금족(禁足) 지역이 전면 개방되면서 사실상 종결되었습니다. 그러나 제주 4·3 사건은 대한민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남게 됐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한 피해와 정치적 갈등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논란과 상처로 남았습니다.

 

제주 4·3 사건에 대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이 2000년에 제정됐습니다. 이에 따라 진상조사와 피해자 신고 접수가 진행되었으며 실제 희생자 수는 알려진 것보다 더 많았고 계속해서 추가적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2003년과 2018년, 2020년에 대통령이 직접 제주도민에게 공식으로 사과했습니다. 이를 추모하는 추모 공원인 4·3 평화공원이 2008년에 개관되었으며 2014년에 매년 4월 3일을 4·3 희생자 추념일로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