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임인년 호랑이의 해를 맞이하여
호랑이와 관련 있는 한자성어와 사자성어를 알아봅시다.
기호자세(騎虎之勢)
騎 말 탈 기 虎 범 호 之 갈 지 勢 형세 세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기세라는 뜻으로 범을 타고 달리는 사람이 도중에서 내릴 수 없는 것처럼 도중에 그만두거나 물러설 수 없는 형세를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기수지세(騎獸之勢)' , '기호난화(騎虎難下)' 가 있습니다.
낭탐호시(狼貪虎視)
狼 이리 낭 貪 탐낼 탐 虎 범 호 視 볼 시
이리 같이 탐내고 범처럼 노려봄을 이르는 말입니다.
담호호지(談虎虎至)
談 말씀 담 虎 범 호 虎 범 호 至 이를 지
호랑이를 말하면 호랑이가 온다는 뜻으로 남에 관해 함부로 말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대인호변(大人虎變)
大 클 대 人 사람 인 虎 범 호 變 변할 변
호랑이 털이 가을에 그 무늬가 뚜렷해지듯 큰사람은 호랑이와 같이 변한다는 뜻으로 덕이 높은 사람이 정치를 하게 되면 세상을 근본적으로 선명하게 변화 시킴을 이르는 말입니다.
맹호복초(猛虎伏草)
猛 사나울 맹 虎 범 호 伏 엎드릴 복 草 풀 초
풀밭에 엎드려 있는 범이라는 뜻으로 영웅은 일시적으로 숨어 있지만 때가 되면 반드시 세상에 드러난다는 말입니다.
맹호위서(猛虎爲鼠)
猛 사나울 맹 虎 범 호 爲 할 위 鼠 쥐 서
범도 위엄을 잃게 되면 쥐와 같다는 뜻으로 군주도 권위를 잃게 되면 신하에게 제압을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맹호출림(猛虎出林)
猛 사나울 맹 虎 범 호 出 날 출 林 수풀 림
사나운 호랑이가 숲속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용맹하고 성급한 성격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입니다.
무호동중(無虎洞中)
描 그릴 묘 虎 범 호 洞 골 동 中 가운데 중
범이 없는 골에 이리가 범 노릇 한다는 뜻으로 높은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잘난 체 함을 두고 이르는 말입니다.
묘호류견(描虎類犬)
無 없을 무 虎 범 호 類 무리 류 犬 개 견
호랑이 그리려다 실패하여 개와 비슷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높은 뜻을 갖고 어떤 일을 하려다가 중도에 그쳐 다른 사람의 조소를 받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불감포호(不敢暴虎)
不 아닐 불 敢 감히 감 暴 사나울 포 虎 범 호
맨 주먹으로 맹수를 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모험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불면호구(不免虎口)
不 아닐 불 免 면할 면 虎 범 호 口 입 구
호랑이 아가리를 면치 못한다는 뜻으로 곧 위험을 면치 못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사석위호(射石爲虎)
射 쏠 사 石 돌 석 爲 할 위 虎 범 호
돌을 호랑이로 착각하고 쏘았더니 돌이 화살에 꽂혔다는 뜻으로 성심을 다하면 아니될 일도 이룰 수 있다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사석성호(射石成虎)'가 있습니다.
삼인성호(三人成虎)
三 석 삼 人 사람 인 成 이룰 성 虎 범 호
세 사람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든다는 뜻으로 터무니없는 소문도 이를 퍼뜨리는 자가 많으면 끝내 믿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시호삼전(市虎三傳)'이 있습니다.
숙호충비(宿虎衝鼻)
宿 잘 숙 虎 범 호 衝 찌를 충 鼻 코 비
자는 범의 코를 찌른다는 뜻으로 가만히 있는 사람을 건드려서 화를 스스로 불러 들인다는 말입니다.
신호지세(晨虎之勢)
晨 새벽 신 虎 범 호 之 갈 지 勢 형세 세
굶주린 새벽 호랑이와 같은 맹렬한 기세.
심산맹호(深山猛虎)
深 깊을 심 山 메산 猛 사나울 맹 虎 범 호
깊은 산속의 사나운 범.
아호지혜(餓虎之蹊)
餓 주릴 아 虎 범 호 之 갈 지 蹊 좁은 길 혜
굶주린 범이 다니는 길이라는 뜻으로 심히 위험한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양호유환(養虎遺患)
養 기를 양 虎 범 호 遺 남길 유 患 근심 환
범을 길러 화근을 남긴다는 뜻으로 스스로 화를 자초 할 때는 쓰는 말입니다. 은혜를 베풀어 준 이로부터 도리어 해를 입게 됨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양호후환(養虎後患)'이 있습니다.
양질호피(羊質虎皮)
羊 양 양 質 바탕 질 虎 범 호 皮 가죽 피
속은 양이고 거죽은 호랑이라는 뜻으로 거죽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양호상투(兩虎相鬪)
兩 두 양 虎 범 호 相 서로 상 鬪 싸울 투
두 마리의 호랑이가 서로 다툰다는 뜻으로 힘센 영웅 또는 두 나라가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양호공투(兩虎共鬪)'가 있습니다.
여호모피(與虎謀皮)
與 더불 여 虎 범 호 謀 꾀 모 皮 가죽 피
호랑이에게 가죽으로 내어 놓으라고 꾀다는 뜻으로 근본적으로 이룰 수 없는 일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여양모육(與羊謨肉)' , '연목구어(緣木求魚)'가 있습니다.
연함호두(燕頷虎頭)
燕 제비 연 頷 끄덕일 암 虎 범 호 頭 머리 두
제비 같은 턱과 범 같은 머리라는 뜻으로 먼 나라의 제후가 될 생김새나 후한의 무장 반초를 이르는 말입니다.
용나호척(龍拏虎擲)
龍 용 용 拏 붙잡을 나 虎 범 호 擲 던질 척
용과 범이 맞붙어 싸운다는 뜻으로 영웅들이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호척용나(虎擲龍拏)'가 있습니다.
용반호거(龍蟠虎踞)
龍 용 용 蟠 서릴 반 虎 범 호 踞 걸어앉을 거
용이 서리고 호랑이가 웅크린다는 뜻으로 자세가 험하여 적을 막기에 좋은 환경 또는 호족이 있는 곳을 근거지로 하여 위세를 떨친다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호거용반(虎踞龍盤)'이 있습니다.
용안호미(龍顔虎眉)
龍 용 용 顔 낯 안 虎 범 호 眉 눈썹 미
위엄 있는 용모를 이르는 말입니다.
용양호시(龍驤虎視)
龍 용 용 驤 머리 양 虎 범 호 視 볼 시
용처럼 날뛰고 범 같은 눈초리로 쏘아보다 라는 뜻으로 기개가 높고 위엄에 찬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용호상박(龍虎相搏)
龍 용 용 虎 범 호 相 서로 상 搏 두드릴 박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두 강자가 서로 승패를 다툼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용양호박(龍攘虎搏)'이 있습니다.
용행호보(龍行虎步)
龍 용 용 行 다닐 행 虎 범 호 步 걸음 보
용이나 호랑이의 행보라는 뜻으로 위풍당당한 행동을 이르는 말입니다.
운룡풍호(雲龍風虎)
雲 구름 운 龍 용 룡 風 바람 풍 虎 범 호
구름은 용을 쫓고, 바람은 호랑이를 따른다는 뜻으로 의기와 기질이 서로 맞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입산기호(入山忌虎)
入 들 입 山 메 산 忌 꺼릴 기 虎 범 호
산에 들어가 놓고 범 잡기를 꺼린다는 뜻으로 막상 일을 당하면 처음과 달리 뒤로 꽁무니를 뺌을 이르는 말입니다.
전호후랑(前虎後狼)
前 앞 전 虎 범 호 後 뒤 후 狼 이리 랑
앞문에서 호랑이를 막고 있으려니깐 뒷문으로 이리가 들어온다는 뜻으로 재앙이 끊임 없이 닥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설상가상(雪上加霜)'이 있습니다.
주룡시호(酒龍詩虎)
酒 술 주 龍 용 룡 詩 시 시 虎 범 호
술 마시는 용과 시 짓는 범이라는 뜻으로 시와 술을 좋아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입니다.
포호빙하(暴虎馮河)
暴 사나울 포 虎 범 호 馮 업신여길 빙 河 물 하
범을 맨손으로 두드려 잡고, 큰 강을 배 없이 걸어서 건넌다는 뜻으로 용기는 있으나 무모하기 이를 데 없는 행위를 이르는 말입니다.
포호함포(咆虎陷浦)
咆 고함지를 포 虎 범 호 陷 빠질 함 浦 개 포
으르렁대기만 하는 범이 개울에 빠진다는 속담의 한역으로 큰소리만 치는 사람은 일을 못하고 도리어 실패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피장봉호(避獐逢虎)
避 피할 피 獐 노루 장 逢 만날 봉 虎 범 호
노루를 피하려다가 범을 만난다는 뜻으로 작은 해를 피하려다가 도리어 큰 화를 당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호가호위(狐假虎威)
狐 여우 호 假 거짓 가 虎 범 호 威 위엄 위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는 뜻으로 남의 세력을 빌어 위세를 부림을 일컫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가호위호(假虎威狐)' , '차호위호(借虎威狐)'가 있습니다.
호구여생(虎口餘生)
虎 범 호 口 입 구 餘 남을 여 生 날 생
구사일생으로 살아 남은 목숨이라는 뜻입니다.
호구참언(虎口讒言)
虎 범 호 口 입 구 讒 참소할 참 言 말씀 언
매우 위험한 참언이라는 뜻으로 남을 궁지에 몰아 넣는 고자질이나 헐뜯는 말을 이르는 말입니다.
호랑지국(虎狼之國)
虎 범 호 狼 이리 랑 之 갈 지 國 나라 국
호랑이와 이리의 나라라는 뜻으로 포악하고 신의가 없는 강대국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호랑지심(虎狼之心)
虎 범 호 狼 이리 랑 之 갈 지 心 마음 심
범과 이리 같은 마음 이라는 뜻으로 성질이 거칠고 사나워서 인자하지 못한 마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호두사미(虎頭蛇尾)
虎 범 호 頭 머리 두 蛇 긴 뱀 사 尾 꼬리 미
범의 머리에 뱀의 꼬리 라는 뜻으로 처음에는 성 하나 끝이 부진한 형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용두사미(龍頭蛇尾)'가 있습니다.
호미난방(虎尾難放)
虎 범 호 尾 꼬리 미 難 어려울 난 放 놓을 방
잡은 범의 꼬리를 놓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위험성이 있는 일을 비롯한 바에 그대로 나가기도 어렵고 그만두기도 어려움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호미춘빙(虎尾春氷)
虎 범 호 尾 꼬리 미 春 봄 춘 氷 얼음 빙
범의 꼬리와 봄에 어는 얼음이라는 뜻으로 매우 위험한 지경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호보당당(虎步堂堂)
虎 범 호 步 걸음 보 堂 집 당 堂 집 당
호랑이 걸음처럼 당당하게 나아간다는 뜻입니다.
호부견자(虎父犬子)
虎 범 호 父 아비 부 犬 개 견 子 아들 자
호랑이 아비에 개의 새끼라는 뜻으로 훌륭한 아버지에 못난 아들을 이르는 말입니다.
호시우보(虎視牛步)
虎 범 호 視 볼 시 牛 소 우 步 걸음 보
호랑이 같이 예리하고 무섭게 사물을 보고 소같이 신중하게 행동한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신중을 기함을 뜻합니다.
호사유피(虎死留皮)
虎 범 호 死 죽을 사 留 머무를 유 皮 가죽 피
범이 죽으면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도 죽은 뒤에 이름을 남겨야 한다는 말입니다.
호시탐탐(虎視眈眈)
虎 범 호 視 볼 시 眈 노려볼 탐 眈 노려볼 탐
범이 먹이를 노린다는 뜻으로 기회를 노리며 형세를 살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호전걸육(虎前乞肉)
虎 범 호 前 앞 전 乞 빌 걸 肉 고기 육
범에게 고기 달라기 라느 속담의 한역으로 어림도 없는 일을 하려고 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호혈호자(虎穴虎子)
虎 범 호 穴 구멍 혈 虎 범 호 子 아들 자
범의 굴에 들어가야 범의 새끼를 잡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큰 위험을 각오하지 않으면 큰 수확을 얻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화호불성(畫虎不成)
畫 그림 화 虎 범 호 不 아닐 불 成 이룰 성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화호유구(畫虎類狗)'가 있습니다.
'알면 쓸모 있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페이 국내 도입은 언제? (28) | 2023.02.03 |
---|---|
[도미노 이벤트] 목요일에 피자 싸게 먹는 방법 (20) | 2022.07.13 |
무(MU) 대륙은 존재했는가? (12) | 2022.04.21 |
동물등록제 (0) | 2022.01.17 |
호랑이에 관한 속담 (6) | 2022.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