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올해는 바다와 캠핑등을 많이 갈 수 있을까요?
바다와 캠핑을 갈 때 필요한 부탄가스!
다쓰고 난 부탄가스는 어떻게 처리 해야 할까요?
부탄가스와 같이 내부에 가스가 차 있는 스프레이 제품들은 그냥 버리면 안됩니다. 잘못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방법으로 버려야 합니다.

그 방법으로는 부탄가스에 구멍을 뚫어서 가스를 배출 시킨 후 버리는 겁니다.
부탄가스를 다 사용 했더라도 용기 안에 가라 앉은 가스가 있을 수 있어, 완전하게 배출을 해야 안전합니다. 완전하게 배출 하지 않은 상태로 버리게 되면 큰 가스 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부탄가스에 구멍을 뚫을 때는 안전사고 위험이 있으니 꼭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가스가 눈이나 피부 등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마스크와 장갑 착용은 필수 입니다.
용기를 흔들어 보고 소리가 나지 않더라도 밑에 가라앉아 있는 가스가 잘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서 거꾸로 세워 놓은 다음 노즐을 눌러 최대한 가스를 모두 제거 해주는게 좋습니다. 그 다음 송곳이나 와인 따개, 부탄가스 전용 펀치 등을 이용하여 부탄가스 용기 옆 면에 2~3개 정도 구멍을 뚫어줍니다.
거꾸로 세워 놓은 상태에서 10~15분 정도 두면 대부분의 가스가 제거 됩니다. 빈 부탄가스 통은 캔류로 분리하여 버리고 뚜껑은 플라스틱으로 분리하여 버리면 됩니다.
부탄가스 뿐만 아니라 살충제와 같이 스프레이 형식의 제품들은 동일한 방법으로 안전하게 버리면 됩니다.
부탄가스 안전하게 버리는 방법 내용정리
-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작업하기
- 가스가 눈이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마스크와 장갑 착용하기
-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고 노즐을 최대한 누르기
- 송곳, 와인 따개, 부탄가스 전용 펀치 등으로 용기 옆면에 구멍 뚫기
- 거꾸로 세워 놓은 상태에서 10분 정도 두기
- 빈 용기와 뚜껑은 목적에 맞게 분리 배출하기
'알면 쓸모 있는 정보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 "생활, 밥상물가 안정" (0) | 2022.05.30 |
---|---|
국내선 기내 반입 금지 품목은? (8) | 2022.05.27 |
5월에 열리는 2022 장미축제 (0) | 2022.05.09 |
6월부터 1회용 컵으로 음료 구매시 보증금 300원 부과 (2) | 2022.03.23 |
[쇼핑정보] 오늘의집 "총1억원 FLEX" 이벤트 (2)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