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쓸모 있는 정보

용(龍)에 관한 한자성어 모음

89년생몽실이 2023. 12. 29. 18:05
반응형

2024년 청룡의 해를 맞이하여 용(龍)이 들어간 한자성어는 무엇이 있을까요?

 

2024년 갑진년 용의 해를 맞이하여

용과 관련 있는 한자성어와 사자성어를 알아봅시다.

 


 

거수마룡(車水馬龍)

수레      룡(용)

'수레는 흐르는 물과 같고 말의 움직임은 하늘을 오르는 용과 같다'라는 뜻으로 수레와 말의 왕래가 많아 매우 떠들석한 상황이나 행렬이 성대한 모양을 이르는 말입니다.

 

교룡득수(蛟龍得水)

 교룡    용 룡(용)   얻을   水 물 

'교룡이 물을 얻는다'라는 뜻으로 좋은 기회를 얻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교룡운우(蛟龍雲雨)

 교룡    용 룡(용)   구름   雨 비 

'비와 구름을 얻은 교룡이 하늘로 비상한다'라는 뜻으로 영웅이 기회를 얻어 대활약을 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교룡득수(蛟龍得水)' , '비룡승운(飛龍乘雲)' '운증용변(雲蒸龍變)'입니다.

 

구룡토수(九龍吐水)

 아홉    용 룡(용)   토할  

'아홉마리의 용이 물을 뿜어낸다'는 뜻으로 석가모니가 탄생 할 때 아홉 마리의 용이 물을 뿜어 목욕을 시켰다는 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담천조룡(談天彫龍)

談 말씀    하늘   새길   용 룡(용)

"천상(天象)을 이야기하고 용을 조각한다"는 뜻입니다. 변론(辯論)이나 문장(文章)이 원대(遠大)하고 고상(高尙)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쉽게 말하여 그 내용이 넓고 깊으며 품격이 높다라고 해석 할 수 있습니다. 

 

도룡지기(屠龍之技)

屠 죽일    룡(용)  之 갈   재주 

'용을 죽이는 기술'이라는 뜻으로 용이 이 세상에 없는 동물이므로 세상에 쓸모 없는 기술을 이르는 말입니다.

전국시대 주평만이라는 자가 지리익에게서 용을 잡아서 요리하는 기술을 배우는데 천금이나 되는 가산을 탕진하여 3년 만에 그 재주를 이어 받았지만 그 재주를 쓸 곳이 없었다는 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반룡부봉(攀龍附鳳)

攀 더위잡을   龍  룡(용)  附 붙을   鳳 봉황새 

'용을 끌어잡고 봉황에게 붙는다'는 뜻으로 세력있는 사람을 의지하여 따른다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백룡어복(白龍魚服)

白    龍  룡(용)  魚 물고기   服 옷 

'흰 용이 물고기로 모습을 바꾼다'는 뜻으로 용이 물고기로 모습을 바꾸어 어부에게 붙잡혔다는 것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이는 신분이 높은 사람이 남루한 옷을 입고 슬그머니 나다니다가 위태로운 지경에 빠지게 됨을 이르는 말입니다.

 

복룡봉추(伏龍鳳雛)

伏 엎드릴   龍    봉황새   병아리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특출한 인물과 장래가 촉망 되는 젊은이를 이르는 말입니다. <<촉지>>의 <제갈량전>에 나오는 말로 엎드린 용은 제갈공명을 뜻하고 봉황의 새끼란 방사원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와룡봉추(臥龍鳳雛)', '용구봉추(龍駒鳳雛)'가 있습니다.

 

부운경룡(浮雲驚龍)

浮    雲 구름   놀랄   용 

'떠다니는 구름과 놀란 용'이라는 뜻으로 필세(筆勢)가 매우 자유분방함을 비유하는 말로 붓의 움직임이 규칙적이지 않고 자유롭게 흐른다는 의미로 서예나 그림에서 필세가 자유분방하다는 말은 작가의 감정이나 느낌이 그대로 드러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습니다.

유의어로 '용사비등(龍蛇飛登)', ' 유운경룡(遊雲驚龍)' 이 있습니다.

 

비룡승운(浮雲驚龍)

飛    龍  룡(용)  乘 탈   雲 구름 

'용이 구름을 타고 하늘에 오른다'이라는 뜻으로 영웅이 때를 만나 세력을 얻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운증용변(雲蒸龍變)', '교룡득수(蛟龍得水)' , '교룡운우(蛟龍雲雨)'이 있습니다.

 

비룡재천(浮雲在天)

飛    龍  룡(용)  在 있을   天 하늘 

'용이 하늘로 오른다'는 뜻으로 가장 높은 지위에 올라 있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산용수태(山龍水態)

山    용   물   態 모습 

'산의 솟은 모양과 물의 흐르는 모양는 뜻으로 성심을 다하면 아니될 일도 이룰 수 있다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사석성호(射石成虎)'가 있습니다.

 


어룡장화(魚龍將化)

魚 물고기   龍 용 룡(용)  將 장수   化 될 

'잉어가 용이 된다'라는 뜻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입신양명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어변성룡(魚變成龍)'이 있습니다.

 

어변성룡(魚變成龍)

魚 물고기   變 변할   成 이룰   龍 용 룡(용)

'물고기가 변하여 용이된다'는 뜻으로 어릴 적에 영리 하지 못한 사람이 자란 뒤에 훌륭하게 되거나 아주 가난했던 사람이 나중에 부귀하게 됨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어룡장화(魚龍將化)'가 있습니다.

 

어질용문(魚質龍文)

魚 물고기   質 바탕   龍 용   文 글월 

'물고기 바탕에 용의 무늬'라는 뜻으로 용과 같이 위엄 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나 실은 물고기라 해석 할 수 있으며 옳은 듯하나 실제는 그름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오룡쟁주(五龍爭珠)

五 다섯   龍 용 룡(용)  爭 다툴   珠 구슬 

'다섯마리의 용이 구슬을 얻기 위해 다툰다'는 뜻입니다. 

 

와룡봉추(臥龍鳳雛)

臥 누울   龍 용 룡(용)  鳳 봉황새   雛 병아리 

'누운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누운 용은 풍운을 만나 하늘로 올라가는 힘을 가지고 있고 봉황의 새끼는 장차 자라서 반드시 봉황이 된다는 의미로 때를 기다리는 호걸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복룡봉추(伏龍鳳雛)' , '용구봉추(龍駒鳳雛)'가 있습니다.

 

와룡장자(臥龍壯字)

臥 누울   龍 용 룡(용)  壯 장할   字 글자 

'누운 용과 같이 힘이 있는 글씨'라는 뜻입니다.

 

와룡지재(臥龍之才)

臥 누울   龍 용 룡(용)  之 갈   才 재주 

제갈량과 같이 마음대로 하는 재주를 뜻합니다.

 

와룡촉대(臥龍燭臺)

臥 누울   龍 용 룡(용)  燭 촛불   臺 대 

나무 또는 놋으로 만든 촛대의 한 가지라는 뜻입니다.

용가봉생(龍歌鳳笙)

龍 용   歌 노래   鳳 봉황새   笙 생황 

'용의 노래와 봉황의 관악기'라는 뜻으로 맑고 깨끗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악기를 이르는 말입니다.

 

용구봉추(龍駒鳳雛)

龍 용   駒 망아지   봉황새   병아리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영웅이 아직 세상에 나타나지 않고 숨어 있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복룡봉추(伏龍鳳雛)' , '와룡봉추(臥龍鳳雛)' 가 있습니다.

 

용나호척(龍拏虎擲)

龍 용   拏 붙잡을   虎 범   擲 던질 

'용과 범이 맞붙어 싸운다'는 뜻으로 영웅들이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호척용나(虎擲龍拏)'가 있습니다.

 

용동봉경(龍瞳鳳頸)

龍 용   瞳 눈동자   鳳 봉황새   頸 목 

'용의 눈동자와 봉황의 목'이라는 뜻으로 매우 잘생긴 귀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입니다.

 

용두사미(龍頭蛇尾)

龍 용   頭 머리   蛇 뱀   尾 꼬리 

'용의 머리와 뱀의 꼬리'라는 뜻으로 두 가지 의미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하나. 시작은 좋았으나 끝이 나빠짐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둘. 처음 출발은 야단스러운데 끝은 보잘것 없이 흐지부지 됨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용두익수(龍頭鷁首)

龍 용   頭 머리   鷁 익조   首 머리 

'용은 물을 익새는 바람을 이겨 낸다'는 뜻으로 천자가 타는 배를 의미하며 한 쌍의 배는 각각 용의 머리와 익새의 머리를 새겨 장식했습니다.

 

용문점액(龍門點額)

龍 용   門 문   點 점찍을   額 이마 

'용문에서 이마에 점을 찍는다'는 뜻으로 용문 아래에 물고기가 뛰어오르면 용이 되고 오르지 못하면 이마를 부딪혀 상처만 입게 된다는 의미로 과거에 낙방한 사람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용미봉탕(龍味鳳湯)

龍 용   味 맛   鳳 봉황새   湯 끓일 

'용과 봉황으로 만든 음식'이라는 뜻으로 매우 좋은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용반기연(龍返其淵)

龍 용   返 돌이킬   其 그   淵 못 

'용이 못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영웅, 호걸이 제 고향으로 돌아감을 이르는 말입니다.

 

용반봉일(龍蟠鳳逸)

龍 용   蟠 서릴   鳳 봉황새   逸 달아날 

'용이 물 속에 몸을 감추고 봉황이 숨는다'는 뜻으로 비범한 재주를 가지고 있는 용과 봉과 같은 것이 아직 그 뜻을 펴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용반호거(龍蟠虎踞)

龍 용   蟠 서릴   虎 범   踞 걸어앉을 

'용이 서리고 호랑이가 웅크린다'는 뜻으로 자세가 험하여 적을 막기에 좋은 환경 또는 호족이 있는 곳을 근거지로 하여 위세를 떨친다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호거용반(虎踞龍盤)'이 있습니다.

 

용봉대막(龍鳳大幕)

龍 용   鳳 봉황새   大 큰   幕 장막 

'용과 봉황의 모양을 아로새겨 임금이 앉도록 임시로 꾸며 놓은 자리'이라는 뜻입니다.

유의어로 '용봉장전(龍鳳帳殿)'이 있습니다.

 

용봉장전(龍鳳帳殿)

龍 용   鳳 봉황새   大 큰   幕 장막 

'용과 봉황의 큰 장막'이라는 뜻입니다.

유의어로 '용봉대막(龍鳳大幕)'이 있습니다.

 

용봉지자(龍鳳之姿)

龍 용   鳳 봉황새   之 갈   姿 모양 

'용과 봉황의 모습'이라는 뜻으로 보통 사람보다 뛰어남을 이르는 말입니다.

 

용비봉무(龍飛鳳舞)

龍 용   飛 날   鳳 봉황새   舞 춤출 

'용이 날고 봉황이 춤춘다'는 뜻으로 산천이 수려하고 신령한 기세로 산과 강이 아름답고 웅장하며 신비로운 분위기가 느껴진다는 말입니다. 

 

용사비등(龍蛇飛登)

龍 용   蛇 뱀   飛 날   登 오를 

'용과 뱀이 하늘로 날아오른다'는 뜻으로 용이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이 아주 활기 있는 글씨를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부운경룡(浮雲驚龍)', '유운경룡(遊雲驚龍)'이 있습니다.

 

용상지력(龍象之力)

龍 용   蛇 뱀   飛 날   登 오를 

'용이나 코끼리의 위력'이라는 뜻으로 덕이 높은 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용안호미(龍顔虎眉)

龍 용    낯   범   眉 눈썹 

위엄 있는 용모를 이르는 말입니다.

 

용양호박(龍攘虎搏)

龍 용   攘 물리칠   虎 범   搏 칠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 는 뜻으로 비슷한 상대끼리 맹렬하게 다투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용호상박(龍虎相搏)'이 있습니다.

 

용양호시(龍驤虎視)

龍 용   驤 머리   虎 범   視 볼 

'용처럼 날뛰고 범 같은 눈초리로 쏘아보다' 라는 뜻으로 기개가 높고 위엄에 찬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용행호보(龍行虎步)

龍 용    다닐   虎 범   步 걸음 

'용이나 호랑이의 행보'라는 뜻으로 위풍당당한 행동을 이르는 말입니다.

 

용호상박(龍虎相搏)

龍 용     서로   搏 두드릴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두 강자가 서로 승패를 다툼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용양호박(龍攘虎搏)'이 있습니다.

운룡정와(雲龍井蛙)

雲 구름    용 룡(용)   우물   蛙 개구리 

지위의 고하(高下)나 현우(賢愚)의 현격(懸隔)한 차이(差異)를 이르는 말입니다.

쉽게 말해서 사회적 지위나 지능의 차이가 크다는 뜻입니다.

 

운룡풍호(雲龍風虎)

雲 구름   용 룡(용)  바람   虎 범 

'구름은 용을 쫓고, 바람은 호랑이를 따른다'는 뜻으로 의기와 기질이 서로 맞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운증용변(雲蒸龍變)

雲 구름   蒸 찔   龍 용   變 변할 

'물이 증발하여 구름이 되고 뱀이 변하여 용이 되어 하늘로 오른다'는 뜻으로 영웅호걸이 기회를 얻어 일어남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비룡승운(飛龍乘雲)', '교룡득수(蛟龍得水)' , '교룡운우(蛟龍雲雨)' 이 있습니다.

 

원룡고와(元龍高臥)

元 으뜸   龍 용 룡(용)  高 높을   臥 누울 

'원룡이 높은 침상에 눕는다'는 뜻으로 손님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입니다.

원룡은 후한 때 사람으로 진등의 자가 원룡입니다. 그는 친구 허범이 찾아오면 깔보아 자기는 높고 큰 침상에 누워 자고 허범은 그 아래 작은 침상에서 자게 한 것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유운경룡(遊雲驚龍)

遊 놀   雲 구름   驚 놀랄   龍 용 룡(용)

'용이 구름에서 논다'는 뜻으로 뛰어나게 잘 쓴 글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부운경룡(浮雲驚龍)', '용사비등(龍蛇飛登)'이 있습니다.

 

융준용안(隆準龍眼)

隆 높을   準 준할   龍 용   眼 눈 

우뚝한 코와 용의 눈을 뜻하는 말로 한나라 고조 유방의 얼굴 상을 표현할 때 쓰인 말입니다.

 

일룡일사(一龍一蛇)

一 한   龍 용 룡(용)  一 한   蛇 뱀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거나 뱀이 되어 못 속에 숨는다'는 뜻으로 태평성대한 시대에는 세상에 나와 일을 하고 난세에는 숨어 살면서 재능을 나타내지 않고 그 시대에 잘 순응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쉽게 말해서 시대에 맞게 살아가는 지혜라 할 수 있습니다. 태평한 시대에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사회에 기여 할 수 있고 난세에는 사회가 혼란스럽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지 않고 조용히 사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일룡일저(一龍一猪)

一 한   龍 용 룡(용)  一 한   猪 돼지 

'하나는 용이 되고 하나는 돼지가 된다'는 뜻으로 학문을 알고 모름에 따라 현명하고 어리석음의 차이가 아주 심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잠룡물용(潛龍勿用)

潛 잠길   龍 용 룡(용)   말   用 쓸 

'물에 잠겨 있는 용은 쓰지 않는다'라는 뜻으로 아무리 천하를 품을 만한 영웅이라도 자신의 능력을 갈고 닦으며 조용히 때를 기다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주룡시호(酒龍詩虎)

酒 술   龍 용 룡(용)  시   虎 범 

'술 마시는 용과 시 짓는 범'이라는 뜻으로 시와 술을 좋아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입니다.

 


천리행룡(千里行龍)

千 일천   里 마을   行 다닐   龍 용 룡(용)

'천 리를 다니는 용'이라는 뜻으로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 산맥이 솟았다 낮았다 하며 힘차게 뻗음을 이릅니다.

둘. 어떤 일을 직접 말하지 않고 그 유래를 설명하여 차차 그 일에 미침을 이르는 말입니다.


항룡유회(亢龍有悔)

 목   龍 용 룡(용)  有 있을   悔 뉘우칠 

"하늘에 오른 용은 뉘우칠 때가 있다"는 뜻으로 하늘 끝까지 올라간 용이 더 올라갈 데가 없어 다시 내려올 수 밖에 없듯이 부귀가 극에 이르면 몰락할 위험이 있음을 경계하라는 말입니다.

 

호거용반(虎踞龍蟠)

범   웅크릴   龍 용   서릴 

"용이 도사리고 범이 웅크리고 앉았다"는 뜻으로 웅장한 산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용반호거(龍蟠虎踞)'가 있습니다.

 

호척용나(虎擲龍拏)

 범   擲 던질   龍 용   拏 붙잡을 

'범과 용이 맞잡고 친다'는 뜻으로 영웅끼리 다툼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용나호척(龍拏虎擲)'이 있습니다.

 

화룡유구(畵龍類狗)

 그림   龍 용 룡(용)  類 무리   狗 개 

큰 일을하려다가 그 일을 이루지 못할 때는 모든 것이 실패로 돌아가 한 가지의 작은 일도 이룰 수가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화룡점정(畵龍點睛)

 그림   龍 용 룡(용)  點 점찍을   정 눈동자 

'벽에 그린 용에 눈동자를 그려 넣은 즉시 용이 승천한다'는 뜻으로 가장 요긴(要緊)한 부분을 마치어 완성 시키다는 의미로 가장 중요한 부분을 끝내어 일을 완성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화룡점정은 양나라의 장승요가 안락사에서 용을 두 마리 그렸는데 눈동자를 그리지 않고 두었습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사람들이 그 까닭을 묻자 그는 "눈동자를 그리면 용이 날아가 버리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 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 말을 믿지 않자 두 용 중에서 한 마리의 눈을 그려 넣자 갑자기 천둥 번개가 치며 용이 벽을 차고 하늘로 올아가 버렸고 눈을 그리지 않은 용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는 것에서 유래 됐습니다.

 

반응형